항공기 탑승 시 사용하는 6자리 에어코드는 국제표준코드가 아니다.
항공사 예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고유 예약 코드(Reservation Code)또는 PNR 코드라고 한다.
PNR 코드는 Passenger Name Record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약 시스템에는 아마데우스(Amadeus), 세이버(Sabre), 갈릴레오(Galileo)가 있다.
예약 시스템을 글로벌 분배 시스템(GDS)라고한다.
이 시스템들은 각기 정해진 코드를 사용하여 다양한 승객 상태, 요금, 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아마데우스 예약코드 |
가용성 코드 (Availability Codes) : 항공편 또는 서비스의 가용성을 나타낸다.
- R1, R2, R3: 특정 클래스(예: 이코노미, 비즈니스)의 가용성을 나타낸다.
- XX: 특정 클래스나 서비스에 가용성이 해당 사항이 없음을 나타낸다.
운임 클래스 코드 (Fare Codes) : 특정 항공권의 운임 규칙이나 제약 사항을 정의한다.
- Y, M, B, K: 운임 클래스 코드 (예: Y = 풀 페어 이코노미, M = 할인 이코노미, B = 비즈니스 클래스)
- R, P: 특별 운임이나 프로모션 운임을 나타낼 수 있음.
세그먼트 상태 코드 (Segment Status Codes) : 예약의 각 세그먼트 상태를 나타낸다.
- HK (Held Confirmed): 예약이 확인되고 유지됨을 의미.
- NN (No Name): 승객 이름이 아직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
- SS (Seat Selection): 좌석 선택 상태를 나타냄
세이버 예약코드 |
가용성 코드 (Availability Codes) : 세이버에서는 숫자와 문자로 좌석 가용성을 표시한다.
▲ 0-9: 특정 클래스의 가용 좌석 수 (예: "A"는 퍼스트 클래스, "Y"는 이코노미 클래스).
▲ NN : 특정 클래스의 가용성이 없음.
운임 클래스 코드 (Fare Codes) : 세이버의 운임 클래스 코드는 항공권 가격 및 조건을 나타낸다.
▲ Y, B, M, Q, K: 다른 등급의 운임 클래스 (Y는 가장 유연한 풀페어 이코노미 클래스, Q와 K는 더 제한적인 할인 클래스).
▲ F, J: 비즈니스 또는 퍼스트 클래스 운임.
▲ L, T: 할인된 운임 클래스.
세그먼트 상태 코드 (Segment Status Codes) : 예약 세그먼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 OK (Confirmed): 예약이 확인됨.
▲ HL (Held): 예약이 보류 상태임.
▲ SS (Seat Selection): 좌석 선택이 이루어짐.
갈릴레오 예약코드 |
가용성 코드 (Availability Codes) : 갈릴레오의 가용성 코드는 특정 클래스의 좌석 가용 상태를 표시한다.
▲ A, B, C, D, E, F, G, H: 다양한 예약 클래스를 나타냄.
▲ Z: 해당 예약 클래스에 가용성이 없음.
운임 클래스 코드 (Fare Codes) : 운임 클래스 코드는 티켓 가격 수준과 제한 조건을 나타낸다.
▲ M, Q, K, L: 할인 이코노미 클래스.
▲ Y, J, F: 풀페어 이코노미, 비즈니스, 퍼스트 클래스.
세그먼트 상태 코드 (Segment Status Codes) : 예약 세그먼트의 상태를 나타낸다.
▲ HK (Held Confirmed): 예약이 확인되고 유지됨.
▲ SS (Seat Selection): 좌석 선택 상태.
▲ NN (No Name): 승객 이름이 아직 제공되지 않음.
공통적으로 모든 GDS에서 예약 코드는 아래와 같은 다음 요소들로 구성된다.
- 운임 클래스 코드 (Fare Class Code) : 티켓의 예약 등급을 나타내는 문자 (예: Y, M, B, K 등).
- 좌석 가용성 (Seat Availability) : 특정 클래스에서 가용한 좌석 수를 나타내는 숫자.
- 세그먼트 상태 코드 (Segment Status Code) : 예약 확인, 대기 중, 보류 중(예: HK, NN, SS 등).
- 특수 코드 (Special Codes) : 특정 항공사 프로모션, 세그먼트, 환불 규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