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포렌식(Digital forensic)/암호스토리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본인 일상 속 숫자암호 50개 일본에서는 숫자의 발음을 활용하여 단어나 문구를 표현한다."고로아와세(語呂合わせ)"라고 하는데, 일본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숫자 암호 50개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0840 → 오하요 (おはよう) - 좋은 아침0833 → 오야스미 (おやすみ) - 잘 자3470 → 사요나라 (さよなら) - 안녕889 → 하야쿠 (早く) - 빨리724106 → 나니시테루 (何してる) - 뭐 하고 있어?5963 → 고쿠로상 (ご苦労さん) - 수고했어8181 → 바이바이 (バイバイ) - 잘 가14106 → 아이시테루 (愛してる) - 사랑해11014 → 아이타이요 (会いたいよ) - 보고 싶어3614 → 사무이요 (寒いよ) - 추워33414 → 사비시이요 (寂しいよ) - 외로워500731 → 고멘나사이 (ごめんなさい) - 미안해1.. 정보국의 정보공작 실무용어 100개 01. 물리적 감시: 물리적 세계에서 대상의 움직임과 활동을 모니터링.02. 전자 감시: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통신 및 데이터를 모니터링.03. 기술적 감시: 은밀한 모니터링을 위해 첨단 기술을 사용. 인간지능(HUMINT)04. 모집: 정보 제공을 위해 인력을 모집05. 디브리핑: 작업이나 이벤트 후에 소스에서 정보를 추출06. 에이전트 처리: 제보자나 간첩을 관리하고 안내하는 업무 신호인텔리전스(SIGINT)07.감청: 전자 신호, 통신 또는 데이터를 캡처/보고08.암호해독: 암호화된 통신을 해독09.분석: 실행 가능한 인텔리전스를 위해 수집된 신호를 해석 이미지인텔리전스(IMINT)10. 위성 이미지: 정찰을 위해 위성 이미지를 사용11. 항공 사진: 항공기나 드론을 통해 정보를 수집.12.이미지 .. 정보공작 Spot and Assess 정보공작 활동으로 특정 대상/목표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과정. 이 과정은 주로 국가정보기관/군사조직에서 활용되며,사용하는 목적은 잠재적인 정보원 관리, 목표물 결정, 위험 요소 파악특히, 이들에 대한 활용 유용성이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Spot (스팟, 식별)대상 선정: 특정 인물, 조직, 위치 식별(대상은 기존 정보, 관찰, 제보를 통해 선택)정보 수집: 다양한 출처를 통해 대상에 대한 초기 정보를 수집(공개 자료, 첩보, 감시, 인터뷰 등이 포함)잠재성 평가: 대상이 정보 수집/작전에 얼마나 유용할지 평가.Assess (에세스, 평가)상세 분석: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을 심층적으로 분석.대상의 배경, 동기, 행동 패턴, 네트워크 등을 파악.위험성 평가: 대.. Mayday, Mayday 메이데이 메이데이 언어적 조난 신호메이데이: 생명을 위협하는 긴급 상황을 알리는 데 사용되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조난 신호로즉각적인 지원이 필요한 심각하고 임박한 위험을 알리기 위해 무선 전화 통신을 통해 사용된다. 사용방법: "Mayday, Mayday, Mayday, 이것은 [선박 이름]입니다."사용예제: "Mayday, Mayday, Mayday, Blue Hobit"Pan-Pan: 즉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도움이 필요한 긴급 상황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응급 상황이나 기계적 고장과 같은 상황에 자주 사용된다.사용방법: "팬-팬, 팬-팬, 팬-팬, 이것은 [선박명]입니다."사용예제: "팬-팬, 팬-팬, 팬-팬, HL304"Securité: 항해 안전 메시지나 날씨 경고를 방송하는 데 사용된다.안전 정보를 나.. 한국에 개설된 187개 은행들의 스위프트 코드 은행의 SWIFT 코드는 전세계 은행 간 금융 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식별 코드다.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는 국제 은행 간 통신 협회로, 금융기관 간 메시지 표준을 제정하고 이를 활용한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에 관여한다. SWIFT 코드는 8자리 또는 11자리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코드는 각 은행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은행 코드(Bank Code), 국가 코드(Country Code), 지역 코드(Location Code), 부가 코드(Optional Branch Code)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은행 코드(Bank Code): 4자리 알파벳으로 구성되며, 해당 은행을 식별한다... 스마트폰 패턴 암호화 규칙 스마트폰의 패턴 암호화는 사용자가 설정한 패턴을 이용해 장치를 잠금 해제하는 보안 방법이다. 패턴 암호화는 3x3 그리드에서 최소 4개의 점을 연결하여 하나의 패턴을 생성하는 방식이다.스마트폰 패턴 암호화에 적용된 규칙그리드 규칙스마트폰의 패턴 잠금 화면은 보통 3x3 그리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이 그리드 내에서 점을 연결해 패턴을 만들어야 한다. 점은 중복해서 사용될 수 없으며, 하나의 연속된 경로로 연결되어야 한다. 최소 점 개수패턴을 만들 때 최소 4개의 점을 연결해야 한다. 최소 4개의 점 규칙은 보안 수준 높이기 위한 값으로 더 많은 최소점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연결 방식점을 연결할 때는, 이미 사용된 점은 다시 사용할 수 없고, 두 점 사이에 있는 점은 자동으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보안 분야 용어 100개 모음 컴퓨터 (Computer) 바이러스 (Virus) 악성 코드 (Malware) 방화벽 (Firewall) 암호화 (Encryption) 해킹 (Hacking) 스파이웨어 (Spyware)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웜 (Worm) 네트워크 보안 (Network Security) 인증 (Authentication) 권한 (Authorization)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VPN (Virtual Private Network) SSL (Secure Sockets Layer)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키로거 (Keylogger) 바이러스 정의 업데이트 (Virus Defin.. 발자국 이야기, 더마토글리픽스(Dermatoglyphics) 피부의 주름 패턴을 연구하는 분야 더마토글리픽(Dermatoglyphics)은 피부를 의미하는 "Derma"와 Skincurve에서 곡선을 의미하는 "Glyphics"라는 두 개의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단어다. 이 용어는 미국 지문 분석의 아버지라고 하는 하롤드 커민스(Harold Cummins) 박사가 만들었다. 인간과 포유류는 손가락, 손바닥, 발가락, 발바닥에 피부 문양이 나타난다. 13주에서 21주 사이의 배아 발생 기간 동안 지문과 인간의 뇌는 다른 주요 장기들과 함께 발달하고 자란다. 양손의 지문은 동일하지 않으며 진피층이 손상되지 않는 한 - 칼로 벗겨내지 않는 한 - 평생 변하지 않는다. 같은 지문은 없기에 지문은 사람의 신원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범죄에서 용의자를 특정하는 ..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