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8088
무안공항에서 많은 사상자를 낸 항공기 코드다.
앞에 있는 알파벳 HL은 국가등록번호로 '호텔 리마'라고 부른다.
국가등록번호 접두사는 한국은 HL, 일본은 JA, 중국은 B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모든 항공기는 HL****로 시작한다.
대한민국 🇰🇷 | HL | HL8001 |
미국 🇺🇸 | N | N12345 |
일본 🇯🇵 | JA | JA123A |
중국 🇨🇳 | B | B-1234 |
영국 🇬🇧 | G | G-ABCD |
독일 🇩🇪 | D | D-ABCD |
프랑스 🇫🇷 | F | F-ABCD |
러시아 🇷🇺 | RA | RA-12345 |
브라질 🇧🇷 | PP, PR, PT | PP-ABC |
HL 다음에 오는 첫번째 숫자의 의미는 항공기 종류나 사용 목적을 의미한다.
첫 번째 숫자 의미는 아래와 같은데 일반적으로 8로 시작하며, 그 외는 특수한 경우에 부여되는 코드다.
1~2 | 초기 등록 항공기 (1960년대 이전) |
3~5 | 소형 항공기, 헬리콥터, 특수 항공기 |
7 | 상업용 대형 여객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
8 | 대형 화물기 또는 일부 여객기 (주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
9 | 정부 소속 항공기, VIP 전용기 |
HL7XXX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여객기
HL8XXX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화물기 및 일부 대형 여객기
HL9XXX → 정부 소속기, 공군 VIP기, 대통령 전용기(공군 1호기)
두 번째 숫자 의미는 비행기 제조사에 따라 부여된다.
0, 1, 2 | 보잉(Boeing) 계열 항공기 |
3, 4, 5 | 에어버스(Airbus) 계열 항공기 |
6, 7 | 기타 항공기(예: 터보프롭, 헬리콥터) |
8, 9 | 특수 목적 항공기 |
HL78XX → 대한항공 보잉 787 (드림라이너)
HL77XX → 대한항공 보잉 777
HL73XX → 아시아나항공 에어버스 A330
HL86XX → 대한항공 화물기 (보잉 767F 등)
세 번째, 네 번째 숫자는 개별 항공기 식별번호다.
같은 항공사, 같은 기종 내에서 일련번호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5자리 번호(HL1XXXX~HL9XXXX)**도 보이는데,
이는 기존 4자리 등록번호가 포화 상태가 되면서 확장된 것이다.
비행기 일련번호는 비행기 외부, 내부에 적혀있다.
외부 : 항공기 꼬리 부분, 기체 후방 동체(승객 창문 윗쪽), 날개 아랫쪽(일부 항공사), 앞쪽 랜딩기어 도어
내부 : 조종석 패널(문 안쪽), 기내 서비스 패널, 메인 랜딩기어 내부(정비사 확인용), 제조사(보잉, 에어버스 등)가 기체에 부착하는 금속판으로 기내 출입구, 기체 앞쪽 화물칸 내부에 각이되어 있다.
Serial Number : XXXXX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