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시값'의 사용 방법과 필요성은 앞의 포스팅에서 설명해서 생략한다.
e.g.) 2.png 라는 랜덤 파일의 해시값을 확인해본다.
MD5 암호키 방식을 사용한 값을 기록해두자. 423....으로 시작하고 .......62C2로 끝난다.
이제 이 파일의 MD5 해시를 파이썬 코드로 만들어보자.
아래 파일이 Python 소스 파일이고 아래는 소스 코드다.
import hashlib
# 파일 경로
file_path = '2.png'
# 파일을 바이너리 모드로 열고 읽음
with open(file_path, 'rb') as file:
# 파일 내용을 읽어와서 MD5 해시를 계산
md5_hash = hashlib.md5()
while chunk := file.read(8192):
md5_hash.update(chunk)
# 해시값을 16진수로 표시
hash_value = md5_hash.hexdigest()
print("파일의 MD5 해시값:", hash_value)
동일한 파일에 대한 해시값은
유틸리티 방식, 코드로 분석한 방식 모두 같다.
728x90
'디지털포렌식(Digital foren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1의 휴지통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3) | 2023.11.09 |
---|---|
16진수 Hex 편집기 HxD (0) | 2023.11.09 |
파일의 고유한 지문, 시그니처와 푸터 (1) | 2023.11.08 |
Web에서 Hash 값 보기 (0) | 2023.11.07 |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서 "해시값(hash values)" (1)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