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π(파이)는 원주와 지름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다.
π 기호는 1706년 웨일즈 수학자 윌리엄 존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이 값은 무리수로 단순한 분수로 표현할 수 없으며 소수 표현은 반복되지 않고 영원히 계속 이어진다.
원의 원주(C)는 C = 2π.r 으로 표현된다(r은 원의 반지름).
원의 직경(d)은 공식 C = πd로 표현할 수 있다.
π는 무리수라 십진수로 표현하면 3.14159로 시작하여 반복 없이 무한정 계속된다.
보통 3.14로 표현하나 전체를 다 표현하면 3.14159265358979323846로 표현할 수 있다.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 Using Math.PI as a double value
double pi = Math.PI;
// Formatting and printing the pi value to 5 decimal places
Console.WriteLine("The value of π to 5 decimal places is: " + pi.ToString("F5"));
}
}
소숫점 이하 출력 결과를 5로 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The value of π to 5 decimal places is: 3.14159
pi.ToString("F5")); 에서 pi.ToString("F20"));으로 바꾸면
소숫점 이하 출력 결과가 20개가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실제 파이값은 3. 14159265358979323846이지만 코드에서는 소숫점 이하 출력값이
double 데이터 유형의 최대 크기까지만 만들어진다.
The value of π to 5 decimal places is: 3.14159265358979311600


728x90
'디지털포렌식(Digital forensic) > 숫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유일][파일제공] 옛친구 폰번호 찾기 소프트웨어 (0) | 2023.12.27 |
---|---|
수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상수, e(오일러 수) (0) | 2023.12.09 |
[파일] MAC Address(물리적 주소) 구조와 추출 코드(C#) (1) | 2023.12.05 |
[파일] 카프레카(Kaprekar) 상수 계산과정 C# 코드 (0) | 2023.12.03 |
신비한 숫자, 카프레카(Kaprekar) 상수 (1)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