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이 얻을 수 있는 엔지니어링 정보와 방법
군사 작전에서 국가 안보에 대한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는 기밀 기술의 유출이다.
특히, 비밀리에 개발 중인 새로운 무기가 적의 손에 넘어간 경우, 적은 무기 설계에 녹아 들어있는 엔지니어링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무기를 역설계하거나 기술 수준을 분석해내게 된다.
적이 우리가 만든 신무기를 손에 넣게 되면 수십년~수년간의 연구 개발을 하루 아침에 날리게 되며,
적에게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설계 및 구조 정보
적이 조사할 수 있는 첫 번째 데이터는 무기의 물리적 구조다.
무기를 분해하면 아래와 같은 일이 가능해진다.
ⓐ 구조도면: 적군은 검사를 통해 무기 구성 요소의 레이아웃과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는 전체 디자인, 재료 구성 및 구조적 무결성이 포함된다.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이같은 세부 정보는 무기의 의도된 기능, 부하 용량 및 전투 내구성에 대한 정보를제공한다.
ⓑ재료 분석: 적군은 분광학, X선 회절분석, 전자 현미경과 같은 첨단 소재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무기에 사용된 정확한 재료를 식별할 수 있다(너무 쉽고 간단하다.) 경량 복합재, 내열 합금, 스텔스 코팅 등 특정 특성을 지닌 첨단 소재는 무기의 성능과 기술적 정교함, 재료공학 수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적에게 제공한다.
ⓒ제조 기술: 부품이 어떻게 제조되는지 분석하면 3D 프린팅, 조립방법, 나노재료와 같은 고급 기술을 밝힐 수 있다. 이 방법을 적들이 습득하면 적이 유사한 무기를 복제하거나 우리 무기에 대한 대응책을 개발하여 대응할 수 있다.
전자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
현대 무기는 전자 시스템과 소프트웨어가 필수적으로 들어있다.
ⓐPCB 회로 기판 분석: 전자 부품을 분해하면 무기 내부 회로를 분석할 수 있다. 시스템 전체에 전력이 어떻게 분배되는지, 어떤 IC가 사용되고 제어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표적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에너지 효율성과 같은 무기의 작전 능력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펌웨어 추출: 펌웨어는 무기의 하드웨어와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로 적이 만약 펌웨어에 접근할 수 있다면 센서, 액추에이터, 무기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한 무기의 다양한 하위 시스템이 어떻게 제어되는지 연구할 수 있다. 고급 펌웨어는 특정 조건에서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분석하면 무기가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할 수 있다. 물론, 이를 막기 위해 펌웨어는 여러 단계의 암호화로직과 보안코드가 실장되어 있다.
ⓒ센서 및 통신 시스템: 현대 무기에는 센서(레이더, 열 또는 광학)와 통신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다. 적은 획득한 자원을 이용해 데이터 프로토콜,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위협 탐지 알고리즘을 알 수 있다. 이 정보는 무기가 드론, 위성 또는 지상 통제소와 같은 다른 군사 시스템과 어떻게 통신하고 상호 작용하는지 알 수 있다.
리버스 엔지니어링 및 활용 기술
무기를 캡처한 후에는 여러 가지 고급 엔지니어링 방법을 사용하여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X선 단층 촬영 및 비파괴 테스트(NDT): 이 기술을 사용하면 무기를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 스캔이 가능해 원래 구조를 보존할 수 있다. X선 단층촬영은 보이지 않는 내부 메커니즘과 전자 경로를 드러내는 반면 NDT 기술은 기계적 응력, 재료 피로 또는 약점을 감지할 수 있다.
ⓑ법의학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가 암호화되거나 난독화된 경우에도 숙련된 엔지니어는 코드 역컴파일, 디버깅, 부채널 분석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귀중한 코드 또는 알고리즘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적이 무기 동작의 논리를 이해하고 심지어 자신의 목적에 맞게 복제하거나 재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다.
잠재적 위험 및 결과
기밀 무기의 분실은 특정 품목의 역설계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군사 전략과 능력이 노출될 위험도 있다.
ⓐ개발 로드맵: 무기 공학의 정교함 수준을 이해함으로써 적은 국가의 군사 기술의 목표와 단계가 어느 정도인지 추론할 수 있다. 여기에는 미래 역량 추정, 무기 통합 전략, 차세대 시스템 타임라인까지 포함되고 분석되게 된다.
ⓑ대책 개발: 적이 무기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면 그 효과를 무력화하는 대책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획된 무기가 특정 유도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적군은 해당 시스템을 방해하기 위해 전파 방해 기술이나 잼머나 대응 무기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기술적 도약: 적은 포획한 무기를 복제할 뿐만 아니라 이를 개선하여 자체 군사 기술을 발전시킬 수도 있다. 불완전한 설계 결함이나 개선 영역을 식별하면 해당 지식을 사용하여 더 우수한 버전의 무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원래 개발자나 개발국가에 불이익이 발생한다.
정보 손실 방지 방법
적이 민감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현대 방어 전략에서 중요한 우선순위중 첫번째다.
일반적인 대책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자폭 메커니즘: 일부 고급 무기는 무기가 적의 손에 떨어지면 활성화되는 자폭 메커니즘으로 설계된다.
이렇게 하면 무기와 그 구성 요소를 연구하거나 역설계할 수 없게 된다.
ⓑ데이터 암호화 및 변조 방지 소프트웨어: 군용 무기에는 일단 손상되면 시스템을 작동할 수 없거나 읽을 수 없게 만드는 심하게 암호화된 소프트웨어와 변조 방지 기술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여러 단계의 고급 암호화를 통해 중요한 코드에 쉽게 액세스할 수 없으며 변조 방지 메커니즘을 통해 물리적으로 분해하더라도 분해시 필수적 구성 요소가 손상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유인 기술: 어떤 경우에는 군사 개발자가 가짜 요소나 시스템을 무기에 도입하여 리버스 엔지니어링 작업 중에 적이 정보 판단에 혼란을 주도록 만들기도 한다.
'아는만큼보이는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 음어(일부) - 상황 시 변 (3) | 2024.12.16 |
---|---|
COC(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체, Cyclo Olefin Copolymer) (0) | 2024.10.18 |
CIA 북한 정보원 모집 공고(전체내용) (2) | 2024.10.05 |
말하지 않아도 아는, 신체언어 (1) | 2024.09.08 |
근접학(Proxemics, 프로시믹스) (0) | 2024.08.30 |